노화로 인해 가장 흔하게 생기는 관절염인 퇴행성 관절염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60% 이상에서 발병합니다. 과거엔 단순 노화 현상으로 인식했으나 최근엔 관절 연골의 변화를 보이는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이란 연골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서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며 염증,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에서 유독 많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신체하중의 대부분을 무릎이 받고, 일상 생활 속에 앉거나 걷는 등 대부분의 활동에 쓰여 다른 관절보다 비교적 손상이 빨리 오는 것입니다. 증상은 관절염이 발생한 부위에 부분적인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통증은 초기에 무릎을 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