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

사우동신경외과 목디스크, 더 늦기 전에 이렇게 예방해요

gomhajin 2023. 8. 22. 17:18

 

목디스크는 교통사고나 낙상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잘못된 습관과 자세가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비스듬한 자세를 한다던가 목을 앞으로 쭉 빼고 모니터 화면 보기, 스마트폰이나 책을 볼 때 푹 숙여서 보는 경우 등등이 목 뼈에 많은 부담을 주고 이윽고 목디스크로 발전하게 됩니다.

 

특히 목디스크는 단순 목 통증뿐만 아니라 압박하는 신경의 위치나 정도에 따라 어깨와 팔 저림 및 통증, 두통이나 현기증, 어지럼증 등 다른 부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시간 사우동신경외과에서 목디스크의 정확한 정의와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목디스크는 목뼈 즉 경추 사이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가 원래 있던 자리에서 이탈하여 척추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경추추간판탈출증이라고도 불리며 잘못된 자세나 외부의 충격에 인해 디스크가 퇴행성 변화를 하여 발생합니다.

 

 

경추는 상단으로는 뇌, 하단으로는 허리와 닿아 있는 중추신경이 있습니다. 목디스크가 발생하면 디스크가 탈출하거나 파열되어 중추신경을 압박하게 되는데요. 경추 4~7번 디스크가 튀어나와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압박받는 신경이 어디냐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며 주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 통증은 물론 팔과 어깨에도 통증이 나타남

㉯ 팔에 힘이 빠지고 저린 듯한 증상이 나타남

㉰ 두통과 어지럼증, 이명 등이 나타남

 

 

목디스크의 발병 원인은 서두에 설명했듯이 퇴행성 변화, 외부의 충격, 잘못된 자세가 주 원인입니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률이 증가해서 젊은 연령층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기에 경각심을 가지고 주의해야 합니다.

 

⑴ 퇴행성 변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어 목의 디스크가 탈출하거나 돌출되는 경우

 

⑵ 외부로부터의 충격

교통사고나 낙상, 미끄러짐 등 목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⑶ 생활 습관

잘못된 자세를 장시간 동안 하거나 높은 베개 사용 등

 

 

목디스크는 잘못된 습관만 개선하면 충분히 예방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① 장시간 한 자세로 있었을 경우 한 번씩 목 스트레칭을 하는 등 근육을 풀어줍니다.

② 컴퓨터를 바라볼 때 눈높이에 맞춰서 바라보며 목을 앞으로 쭉 빼서 보지 않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책 또한 마찬가지로 고개를 푹 숙여서 보는 경우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행동이기에 의식해서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③ 수면을 취할 때에는 과하게 높은 베개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합니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은 전문의 간의 긴밀한 시스템 구축과 지속적인 학술 연구를 통해서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MRI, CT, X-ray, 실시간영상장치 등 다양한 최첨단 영상의학장비 및 관절내시경을 갖추어서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